본문 바로가기

웹소설 작가 되기

웹소설 작가, 나도 될 수 있을까?

웹소설 작가, 나도 될 수 있을까?

 

글 한 번 안 써본 사람도 가능한 웹소설 작가 입문 가이드

  • 웹소설은 더 이상 일부 작가의 전유물이 아닙니다. 회사원도, 워킹맘도, 글쓰기를 처음 시작하는 사람도 웹소설 작가가 될 수 있습니다. 이 글에서는 웹소설 플랫폼의 종류, 인기 장르, 글쓰기 루틴, 수익 구조 등 웹소설을 처음 시작할 때 꼭 알아야 할 현실적인 정보들을 공유합니다.

웹소설,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?

  • 웹소설을 처음 접하는 분들은 플랫폼부터 낯설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. 대표적인 플랫폼으로는 카카오페이지, 네이버 시리즈, 문피아, 조아라, 리디북스 등이 있으며, 각 플랫폼은 연재 방식과 수익 구조에 따라 특성이 다릅니다.
  • 카카오와 네이버는 ‘공모전’ 기반 플랫폼으로, 일정 수준 이상의 완성도를 요구합니다. 반면 문피아, 조아라는 누구나 바로 연재할 수 있어 첫 연재 경험을 쌓기에 적합합니다.

처음 쓸 때는 어떤 이야기를 써야 할까?

  • 처음부터 거창한 줄거리나 설정을 만들 필요는 없습니다. 자신이 평소 즐겨 보던 드라마나 만화, 웹툰에서 영감을 얻어도 충분합니다.
  • 최근 독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장르는 로맨스판타지(로판), 현대 로맨스, BL, 이세계물, 힐링 계열 등이며, 처음에는 자신이 흥미를 느끼고 오래 쓸 수 있는 소재부터 잡는 것이 좋습니다.

웹소설, 매일 쓰지 않아도 되나요?

  • 웹소설 작가로 성장하려면 ‘완성도’보다 ‘꾸준함’이 먼저입니다. 하루에 500자, 1000자씩 써보며 글쓰기 루틴을 만드는 것이 핵심입니다.
  • 스마트폰 메모장이나 구글 Docs를 활용해도 좋고, 같은 시간에 글을 쓰는 습관을 들이면 글쓰기 속도가 점점 빨라집니다.
  • 보통 플랫폼에 올라가는 한 회차 분량은 약 4500자 정도이며, A4 기준 5~6장 분량입니다. 회사원이라면 하루 2000~2500자를 쓰는 것을 목표로 해도 충분합니다.

웹소설 수익은 어떻게 발생하나요?

  • 수익 구조는 플랫폼에 따라 다르지만, 기본적으로는 광고 수익, 후원, 유료 전환, 공모전 수상 후 계약금 및 선인세 등으로 구성됩니다.
  • 자유 연재 플랫폼에서는 조회수 기반의 광고 정산과 독자 후원이 중심이며, 유료 플랫폼이나 공모전 당선 시에는 정식 연재 기회와 함께 선인세를 받을 수 있습니다.
  • 실제로는 한 달에 3만 원에서 시작해 정식 계약과 웹툰화로 이어지는 사례도 있으며, 꾸준함이 결국 기회를 만든다는 점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정말 내가 작가가 될 수 있을까요?

  • 처음에는 “내가 쓴 글을 누가 볼까?” 하는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. 저 역시 출판사 50곳에 투고해서 49곳에서 거절을 당했지만, 단 한 곳의 계약이 저를 작가로 만들어주었습니다.
  • 완벽한 글을 쓰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‘실행’이고, 지속적으로 쓰는 힘입니다.
  • 댓글이 달리고, 누군가가 내 글을 기다리는 경험은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감동을 줍니다.

지금 시작해보세요!

  • 웹소설 작가가 되는 길은 생각보다 가까이에 있습니다. 글쓰기의 경험이 없어도, 시간이 많지 않아도 괜찮습니다.
  • 중요한 건 ‘한 줄이라도 쓰기 시작하는 것’입니다.
  • 이 블로그에서는 앞으로도 웹소설 작가가 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, 현실적으로 안내드릴 예정입니다.